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지출액을 환급해주는 교통카드입니다.
아래는 K-패스의 주요 내용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든 국민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까지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비율(계층별 20~53%)을 다음 달에 현금,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으로 직접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
기존 ‘알뜰교통카드’ 제도의 이용 불편*을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하여 이용자 편익 강화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도보·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한 마일리지 환급 방식으로, 출발 및 도착 기록이 필요함
청년 (만 19세~34세): 30% 환급
저소득층 (수급자, 차상위): 53.3% 환급
일반 (청년, 저소득층 외): 20% 환급
예) 1,500원 기준
일반 적립률 : 300원
청년 적립률 : 450원
저소득 적립률 : 800원
비고 이동 거리 무관(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일반 시내버스, 지하철, 민자철도, GTX-A, 광역버스 등 교통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적용되며 전국 단위*로 호환
*2024년 1월 기준, 176개 지자체에서 시행 중이며 2024년 5월 이후 189개 지자체로 확대 계획
전국 대부분 도시에서 이용 가능 (단,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 제외) 신분당선, GTX, 공항철도,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가능
사전 예약이 필요한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등은 불가
K-패스를 발급받으려면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4월 30일까지 알뜰 교통카드 웹에서 사전 동의 후, 5월 1일부터 기존 카드로 K-패스 이용 가능
4월 24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5월 1일부터 K-패스 홈페이지, 앱, 11개 카드사에서 신청 가능
11개 카드사: 농협,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비씨, 현대, 삼성, 티머니,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
자세한 내용은 K-패스 (korea-pass.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도 K-패스로 이용 가능합니다.
K-패스로 적립된 금액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달의 다음 달에 현금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받은 현금은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외 택시비, 주차장 이용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4월 30일 이전: 알뜰교통카드 고객센터(☎031-427-4415)
• 2024년 5월 1일부터: K-패스 누리집(korea-pass.kr) 또는 모바일 앱 K-패스 (korea-pass.kr)
K-패스를 통해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필수로 들르게 되는 곳이 바로 고속도로 휴게소입니다. 휴게소는 단순히 쉬어가는 곳이 아니라,…
통행료 비대면 환불서비스란 고속도로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명의 차량의 환불 통행료 내역…
경기도 공공웨딩홀이란 경기도 공공웨딩홀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합리적인 가격의 예식장으로, 예산 부담 없이 특별한 날을 기념할…
농어촌 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지원은 농어촌 지역 출신 대학생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은 국내에 장기체류 중인 외국인 현황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등록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농식품 바우처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 23조의 2(취약계층 등에 대한 식품지원)에 근거하여 취약계층의 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