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코드 A ~ Z 상세 정리 (호흡기계,소화기계,피부,눈,귀질환)

질병코드란 무엇인가요?

질병코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건강 및 질병 상태를 표준화한 코드로,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제정한 국제질병분류(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에 기반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 보험사, 연구자 등이 질병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질병코드는 의료보험 청구, 통계 작성,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질병코드의 구성

질병코드는 영어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분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코드의 첫 글자는 해당 질병군을 나타내며, 뒤이어 오는 숫자는 세부 질병이나 상태를 구체적으로 지칭합니다.

질병코드의 활용

1) 병원 진료 및 처방

의사가 환자를 진단할 때 질병코드를 부여하여 처방전을 작성하거나 진료 기록에 남깁니다.

2) 보험 청구

보험사에서 실비 보험 처리 시 질병코드를 바탕으로 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특히, 비염, 감기 등은 실비 청구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 통계 및 연구

국가적 차원의 보건 통계, 질병 관리, 예방 연구에도 질병코드가 활용됩니다.

질병코드 확인 방법

  1. 진단서 및 진료확인서: 병원에서 발급받는 서류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2. 병원 방문: 직접 문의하면 담당 의사가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
  3. 건강보험공단: 진료비 내역 확인서에서도 질병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Z 질병코드 상세 정리

A: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 A00-A09: 장 감염병 (예: 콜레라, 세균성 이질)
  • A15-A19: 결핵
  • A20-A28: 기타 세균성 질환 (예: 페스트, 브루셀라병)
  • A30-A49: 나병 및 기타 감염성 질환

B: 기타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 B00-B09: 바이러스성 감염증 (예: 단순포진, 대상포진)
  • B15-B19: 바이러스성 간염
  • B20-B24: HIV/AIDS
  • B25-B34: 기타 바이러스성 감염증

C: 악성 신생물 (암)

  • C00-C14: 입, 인두의 암
  • C15-C26: 소화기관의 암
  • C30-C39: 호흡기관의 암
  • C40-C41: 뼈 및 관절의 암

D: 기타 신생물 및 혈액 질환

  • D00-D09: 신생물의 전암성 병변
  • D10-D36: 양성 신생물
  • D50-D89: 혈액 및 면역 체계의 질환

E: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 E00-E07: 갑상선 질환
  • E10-E14: 당뇨병
  • E15-E16: 기타 내분비 질환
  • E65-E68: 비만 및 기타 과영양증

F: 정신 및 행동 장애

  • F00-F09: 유기적 정신장애
  • F10-F19: 약물 관련 장애
  • F20-F29: 조현병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 F30-F39: 기분 장애

G: 신경계 질환

  • G00-G09: 뇌막염 등 염증성 질환
  • G20-G26: 파킨슨병 등 퇴행성 질환
  • G30-G32: 알츠하이머병
  • G35-G37: 다발성 경화증

H: 눈, 귀 질환

  • H00-H05: 눈꺼풀, 눈부속기의 질환
  • H10-H13: 결막의 질환
  • H60-H95: 귀 및 유양 돌기의 질환

I: 순환계 질환

  • I00-I02: 류마티스성 열병
  • I10-I15: 고혈압성 질환
  • I20-I25: 허혈성 심장질환
  • I60-I69: 뇌혈관 질환

J: 호흡기계 질환

  • J00-J06: 급성 상기도 감염
  • J10-J18: 인플루엔자 및 폐렴
  • J20-J22: 기타 급성 하기도 감염
  • J40-J47: 만성 하기도 질환 (예: 천식, COPD)

K: 소화기계 질환

  • K00-K14: 구강 질환
  • K20-K31: 식도, 위, 십이지장 질환
  • K35-K38: 충수염
  • K50-K52: 염증성 장질환

L: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 L00-L08: 감염성 피부 질환
  • L10-L14: 수포성 질환
  • L20-L30: 피부염 및 습진
  • L40-L45: 건선 및 기타 각화성 질환

M: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 M00-M25: 관절 질환
  • M30-M36: 전신 결합조직 질환
  • M40-M54: 척추 및 등 질환

N: 비뇨생식기계 질환

  • N00-N08: 신장의 사구체 질환
  • N10-N16: 요관 및 신우의 질환
  • N20-N23: 요로결석
  • N30-N39: 방광 및 요도 질환

O: 임신, 출산 및 산후기

  • O00-O08: 임신 초기 장애
  • O10-O16: 임신 관련 고혈압
  • O20-O29: 기타 임신 관련 질환
  • O30-O48: 태아 및 양수 문제

P: 출생 전후기 상태

  • P00-P04: 태아 및 신생아의 외부 원인
  • P05-P08: 출생 체중 및 주수 문제
  • P10-P15: 출생 시 외상
  • P20-P29: 순환 및 호흡 장애

Q: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 Q00-Q07: 신경계 기형
  • Q20-Q28: 순환계 기형
  • Q30-Q34: 호흡기계 기형
  • Q60-Q64: 비뇨기계 기형

R: 증상, 징후 및 비정상적 임상 및 검사 소견

  • R00-R09: 순환 및 호흡 증상
  • R10-R19: 소화기 증상
  • R20-R23: 피부 증상
  • R30-R39: 비뇨기 증상

S, T: 손상, 중독 및 외부 원인 특정 결과

  • S00-S09: 머리 손상
  • S10-S19: 목 손상
  • T00-T14: 신체 여러 부위의 손상
  • T20-T32: 화상 및 부식

V, W, X, Y: 외인성 손상 및 사망 원인

  • V01-V99: 운송 사고
  • W00-W19: 낙상 사고
  • X00-X09: 화재 및 화상
  • Y10-Y34: 의도 불명 사건

Z: 건강 상태 및 보건서비스와의 접촉 요인

  • Z00-Z13: 건강검진 및 특정 검진
  • Z20-Z29: 전염성 질환의 접촉
  • Z30-Z39: 출산 관련 서비스

5. 마무리

질병코드는 진료와 보험, 그리고 통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보입니다.

자신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질병코드를 알고 있으면, 병원 진료나 보험 청구 시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KOICD 질병분류정보센터 보험청구 및 보험분쟁시 필요한 질병코드 검색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gagaman88

Recent Posts

🔥 벽걸이, 스탠드형, 무풍에어컨까지… 어떤 걸 사야 할까?

2025년 현재, 에어컨 시장은 그야말로 ‘대전’입니다.무풍 기능부터 프리미엄 디자인, 벽걸이·스탠드형, 심지어 공기청정 기능까지!그렇다면 올해 가장…

3주 ago

2025년 장마기간 완벽 정리🌧 지역별 시작·종료·강수 특성까지 한눈에!

2025년 장마는 ‘기간은 길고, 비는 세게’ 오는 경향을 보입니다.지역별 차이를 이해하고, 사전 대비만 잘 해도…

4주 ago

여자친구 선물 추천🎁 가성비 좋은 10만원대 여자시계 BEST 10

고급스러우면서도 실용적인 여자 시계, 10만원대 가격으로 가성비까지 챙길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죠? 오늘은 여자친구…

1개월 ago

남자친구 선물, 10만 원대 가성비 좋은 남성 시계 추천 BEST.10

스타일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10만 원대 남성 시계를 찾고 계신가요? 특히 남자친구 선물로 고민 중이라면,…

1개월 ago

응급실 실비 얼마까지? 청구서류, 청구기간, 갈 때 준비물까지 정리!

응급 상황은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갑작스럽게 응급실을 찾게 되었을 때, 진료비 부담이 걱정되시나요? 이럴 때…

2개월 ago

2025년 이사하기 좋은 날은 언제? 미신까지 완벽 정리!

2025년에 이사 계획이 있다면,단순히 날짜를 고르기보다 손 없는 날과 이사 준비 체크리스트를 참고해안전하고 기분 좋은…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