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코드 A ~ Z 상세 정리 (호흡기계,소화기계,피부,눈,귀질환)

질병코드란 무엇인가요?

질병코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건강 및 질병 상태를 표준화한 코드로,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제정한 국제질병분류(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에 기반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 보험사, 연구자 등이 질병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질병코드는 의료보험 청구, 통계 작성,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질병코드의 구성

질병코드는 영어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분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코드의 첫 글자는 해당 질병군을 나타내며, 뒤이어 오는 숫자는 세부 질병이나 상태를 구체적으로 지칭합니다.

질병코드의 활용

1) 병원 진료 및 처방

의사가 환자를 진단할 때 질병코드를 부여하여 처방전을 작성하거나 진료 기록에 남깁니다.

2) 보험 청구

보험사에서 실비 보험 처리 시 질병코드를 바탕으로 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특히, 비염, 감기 등은 실비 청구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 통계 및 연구

국가적 차원의 보건 통계, 질병 관리, 예방 연구에도 질병코드가 활용됩니다.

질병코드 확인 방법

  1. 진단서 및 진료확인서: 병원에서 발급받는 서류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2. 병원 방문: 직접 문의하면 담당 의사가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
  3. 건강보험공단: 진료비 내역 확인서에서도 질병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Z 질병코드 상세 정리

A: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 A00-A09: 장 감염병 (예: 콜레라, 세균성 이질)
  • A15-A19: 결핵
  • A20-A28: 기타 세균성 질환 (예: 페스트, 브루셀라병)
  • A30-A49: 나병 및 기타 감염성 질환

B: 기타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 B00-B09: 바이러스성 감염증 (예: 단순포진, 대상포진)
  • B15-B19: 바이러스성 간염
  • B20-B24: HIV/AIDS
  • B25-B34: 기타 바이러스성 감염증

C: 악성 신생물 (암)

  • C00-C14: 입, 인두의 암
  • C15-C26: 소화기관의 암
  • C30-C39: 호흡기관의 암
  • C40-C41: 뼈 및 관절의 암

D: 기타 신생물 및 혈액 질환

  • D00-D09: 신생물의 전암성 병변
  • D10-D36: 양성 신생물
  • D50-D89: 혈액 및 면역 체계의 질환

E: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 E00-E07: 갑상선 질환
  • E10-E14: 당뇨병
  • E15-E16: 기타 내분비 질환
  • E65-E68: 비만 및 기타 과영양증

F: 정신 및 행동 장애

  • F00-F09: 유기적 정신장애
  • F10-F19: 약물 관련 장애
  • F20-F29: 조현병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 F30-F39: 기분 장애

G: 신경계 질환

  • G00-G09: 뇌막염 등 염증성 질환
  • G20-G26: 파킨슨병 등 퇴행성 질환
  • G30-G32: 알츠하이머병
  • G35-G37: 다발성 경화증

H: 눈, 귀 질환

  • H00-H05: 눈꺼풀, 눈부속기의 질환
  • H10-H13: 결막의 질환
  • H60-H95: 귀 및 유양 돌기의 질환

I: 순환계 질환

  • I00-I02: 류마티스성 열병
  • I10-I15: 고혈압성 질환
  • I20-I25: 허혈성 심장질환
  • I60-I69: 뇌혈관 질환

J: 호흡기계 질환

  • J00-J06: 급성 상기도 감염
  • J10-J18: 인플루엔자 및 폐렴
  • J20-J22: 기타 급성 하기도 감염
  • J40-J47: 만성 하기도 질환 (예: 천식, COPD)

K: 소화기계 질환

  • K00-K14: 구강 질환
  • K20-K31: 식도, 위, 십이지장 질환
  • K35-K38: 충수염
  • K50-K52: 염증성 장질환

L: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 L00-L08: 감염성 피부 질환
  • L10-L14: 수포성 질환
  • L20-L30: 피부염 및 습진
  • L40-L45: 건선 및 기타 각화성 질환

M: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 M00-M25: 관절 질환
  • M30-M36: 전신 결합조직 질환
  • M40-M54: 척추 및 등 질환

N: 비뇨생식기계 질환

  • N00-N08: 신장의 사구체 질환
  • N10-N16: 요관 및 신우의 질환
  • N20-N23: 요로결석
  • N30-N39: 방광 및 요도 질환

O: 임신, 출산 및 산후기

  • O00-O08: 임신 초기 장애
  • O10-O16: 임신 관련 고혈압
  • O20-O29: 기타 임신 관련 질환
  • O30-O48: 태아 및 양수 문제

P: 출생 전후기 상태

  • P00-P04: 태아 및 신생아의 외부 원인
  • P05-P08: 출생 체중 및 주수 문제
  • P10-P15: 출생 시 외상
  • P20-P29: 순환 및 호흡 장애

Q: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 Q00-Q07: 신경계 기형
  • Q20-Q28: 순환계 기형
  • Q30-Q34: 호흡기계 기형
  • Q60-Q64: 비뇨기계 기형

R: 증상, 징후 및 비정상적 임상 및 검사 소견

  • R00-R09: 순환 및 호흡 증상
  • R10-R19: 소화기 증상
  • R20-R23: 피부 증상
  • R30-R39: 비뇨기 증상

S, T: 손상, 중독 및 외부 원인 특정 결과

  • S00-S09: 머리 손상
  • S10-S19: 목 손상
  • T00-T14: 신체 여러 부위의 손상
  • T20-T32: 화상 및 부식

V, W, X, Y: 외인성 손상 및 사망 원인

  • V01-V99: 운송 사고
  • W00-W19: 낙상 사고
  • X00-X09: 화재 및 화상
  • Y10-Y34: 의도 불명 사건

Z: 건강 상태 및 보건서비스와의 접촉 요인

  • Z00-Z13: 건강검진 및 특정 검진
  • Z20-Z29: 전염성 질환의 접촉
  • Z30-Z39: 출산 관련 서비스

5. 마무리

질병코드는 진료와 보험, 그리고 통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보입니다.

자신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질병코드를 알고 있으면, 병원 진료나 보험 청구 시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KOICD 질병분류정보센터 보험청구 및 보험분쟁시 필요한 질병코드 검색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gagaman88

Recent Posts

✅ [2025 최신판] 고등학교 졸업 후 꼭 따야 할 자격증 총정리! (공기업 · 국가자격증 · 고졸 추천)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빠르게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 진로와 목표에 맞는 자격증을 선택해, 남들보다…

5일 ago

해외여행 시 유용한 비상약 정리 + 응급상황 준비물 체크리스트

해외여행, 설렘만큼 예상치 못한 응급상황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여행 중 갑작스럽게 아프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1주 ago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수유실 수면실 음식가격 조회하는 방법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필수로 들르게 되는 곳이 바로 고속도로 휴게소입니다. 휴게소는 단순히 쉬어가는 곳이 아니라,…

1개월 ago

고속도로 하이패스 통행료 비대면 환불 신청하는 방법 1588-2504

통행료 비대면 환불서비스란 고속도로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명의 차량의 환불 통행료 내역…

1개월 ago

경기도 공공 웨딩홀 무료대관 (부천,용인,의왕,성남,수원,소사)

경기도 공공웨딩홀이란 경기도 공공웨딩홀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합리적인 가격의 예식장으로, 예산 부담 없이 특별한 날을 기념할…

1개월 ago

한국장학재단 농어촌 대학생 학자금 융자 지원(무이자)1599-2000

농어촌 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지원은 농어촌 지역 출신 대학생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