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25개 자치구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광역 서울사랑상품권과 각 자치구에서 발행하는 서울사랑상품권 등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각 자치구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은 해당 자치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번에 발행되는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특별시장 명의로 발행되는 광역 상품권으로 서울 전역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울페이, 신한SOL, 티머니페이, 머니트리, 신한Play
23년은 7%할인에 구입가능, 보유한도는 100만원, 발행시기에 30만원을 구입가능했습니다.
연말정산에 소득공제 30%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일석 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구분 | 2024. 1. 30. (13개 구) | 2024. 1. 31. (12개 구) |
---|---|---|
09:00 | 성북구, 용산구 | 중구, 강동구 |
10:00 | 관악구, 금천구 | 강북구, 광진구 |
11:00 | 동작구 | 양천구 |
12:00 | 노원구 | 서초구 |
13:00 | 동대문구, 도봉구 | 종로구, 중랑구 |
14:00 | 성동구 | 강서구 |
15:00 | 강남구 | 송파구 |
16:00 | 영등포구 | 은평구 |
17:00 | 서대문구, 구로구 | 마포구 |
서울시가 설 연휴를 맞아 1000억원 규모의 ‘서울사랑상품권’을 5% 할인된 금액에 판매한다. 2020년 최초 발행할 때 10%였던 할인율은 올해 절반까지 줄었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지속되는 고물가 상황에서 시민들의 장바구니의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30~31일 25개 자치구별로 지역상품권을 발행한다고 합니다.
지역상품권은 오전 9시~오후 5시 사이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자치구별 판매 시점을 한 시간 단위로 분리해 동시 접속자를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성북·용산은 30일 오전 9시에 판매를 시작하고, 이어 같은 날 오전 10시부터는 관악·금천구의 상품권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상품권 구입은 ‘서울페이플러스(서울pay+)’를 비롯해 신한쏠뱅크, 티머니페이, 머니트리, 신한쏠페이 등 5개 앱에서 가능합니다.
이번 지역상품권은 1인당 자치구별로 최대 50만원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상품권 보유 한도는 자치구별 150만원 입니다.
기존 발행 상품권 잔액이 약 4000억원 어치임을 감안해 이번 설 발행 규모를 총 1000억 원으로 조정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입니다.
지난해 추석(200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줄어 들었습니다.
25개 자치구별 발행액은 각 40억원 입니다.
원활하게 상품권을 사기 위해선 발행일 전날까지 미리 서울페이플러스 앱을 내려받고 회원가입을 꼭 먼저 하셔야 합니다.
상품권 발행 시각에 맞춰 회원가입을 하면 자칫 시스템 부하 등의 이유로 처리가 지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필수로 들르게 되는 곳이 바로 고속도로 휴게소입니다. 휴게소는 단순히 쉬어가는 곳이 아니라,…
통행료 비대면 환불서비스란 고속도로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명의 차량의 환불 통행료 내역…
경기도 공공웨딩홀이란 경기도 공공웨딩홀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합리적인 가격의 예식장으로, 예산 부담 없이 특별한 날을 기념할…
농어촌 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지원은 농어촌 지역 출신 대학생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은 국내에 장기체류 중인 외국인 현황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등록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농식품 바우처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 23조의 2(취약계층 등에 대한 식품지원)에 근거하여 취약계층의 식품…